골프를 잘하는 싱글 수준의 골퍼에게서도 훅이 나서 곤혹을 치를 때가 있다. 일반 골퍼의 경우를 말하며 그에 따른 훅을 스트레이트로 바꾸는 방법은 어떤 것인지 알아본다.
싱글 핸디캡의 체중 이동은 과하지 않고 순간적으로 가능하다.
80중반의 골퍼와 70대 중반의 골퍼의 차이는 과하지 않은 체중 이동이 차이점이다.
그렇다고 체중 이동을 안 하거나 적게 하는 것이 아니다.
체중 이동과 임팩트가 거의 동시에 프로처럼 일어나게 되며 자연스러운 결과를 가져와야 하는데 이런 싱글핸디 골퍼가 훅이 나는 이유는 원초적인 이유가 있다.
클럽 페이스가 닫히지 않는 정상적인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는 경우 릴리즈가 체중 이동에 앞서기 때문이 대부분이다.
조금 더 멀리 치려는 이유가 있을 수 있고 아직 몸이 풀리지 않은 전반 홀에서 비교적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러므로 싱글 핸디 골퍼가 특히 드라이버 훅이 나는 경우는 골반을 자신이 원래 하는 방식으로 체중이동을 위해 돌려주거나 좌측으로 밀어주는 기본을 유지해야 한다.
다운스윙 시 체중이동 골반이 돌아가는 느낌이 있어야 한다.
여자 프로들의 경우나 남자 프로들도 임팩트 구간에 체중 이동을 위한 예비 연습을 슬로우 모션으로 하고 볼을 치는 사람이 많다.
같은 맥락이라고 보면 되는데 이는 볼을 똑바로 보내기 위한 예비 동작을 느리게 하는 것이다.
일반 골퍼의 경우 코치가 없기 때문에 다소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체중 이동을 우선 실시한다는 느낌을 가지고 볼을 쳐야 한다.
체중이동의 결과물은 같다. 그러나 사람마다 밀어주는 느낌과 골반을 돌리는 느낌의 형태로 구분한다.
이를 상관하지 말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체중이동 루틴을 성실히 따라 하다 보면 볼을 원하는 곳으로 간다.
정교한 다운스윙과 체중이동에 연습량을 늘린다.
체중이동과 다운스윙 임팩 구간의 동작이 혼연일치가 되는 느낌을 가져야 한다.
위에서 해결방안을 말했지만 가장 문제시되는 것은 연습량이 줄어들어 훅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실제 연습장에서 일어나는 훅과 필드에서 나는 훅이 비슷하지만 연습장에서는 힘의 강약에 의해 훅이 나는 반면 필드에서는 그 어떤 이유보다 체중 이동이 되지 않고 볼을 가격하는 것에 모든 신경을 쏟아 훅이 발생한다.
즉 몸이 준비가 안 되었음에도 볼을 우선 가격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도 연습을 통하여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
조금 빠르게 체중이동을 하는 방법과 자신이 느끼지 못하는 정도로 느리게 체중이동을 하는 방법을 병행하면서 연습을 해야 한다.
반드시 좋아지고 효과를 바로 볼 수 있는 것이 체중이동 연습이다.
젝 니클라우스는 정신력을 1위로 쳤지만 정작 골프를 잘하는 싱클핸디켑의 골프 중요 포인트는 일정한 루틴에 의한 속도 조절과 완벽에 가까운 체중이동을 실현하는 것이다.
위 그림 처럼 체중이동이 완료되고 볼이 맞는 것과 체중이동이 안되고 볼이 맞는것은 방향이 다를 수 밖에 없다.
'골프와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캘러웨이 로그 드라이버 (0) | 2022.09.20 |
---|---|
싱글 스코어 유지 조건 (0) | 2022.09.18 |
숏퍼팅 잘하는 방법 #3 (0) | 2022.08.07 |
골프 구력에 따른 아이언 선택요령 (0) | 2022.08.03 |
골프장 그린피 인하 (신라CC 외 KX그룹 운영 4개 골프장) (0) | 2022.08.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