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와 경제

유통기한 없어지고 소비기한 으로 변경 된다.

by 투피플 2022. 12. 2.

지금까지 표시된 유통기한이 변경된다.

소비기한

유통기한이라고 함은 말 그대로 유통할 수 있는 시간과 날짜를 표시하는 것인데 법령으로 각 품목당 필요한 날짜를 생산일 대비 표시하는 것이다.

 

이제부터는 소비기한으로 변경된다.

갈수록 소포장이나 가구수가 적어 식재료를 나눠서 먹다보니 유통 기한을 보고 제품을 구매한 다음 다 소비하지 못하면 그 일자 때문에 버리게 되어 큰 낭비라는 지적이 있었다.

유통 기한은 말 그대로 유통을 할 수 있는 날자를 법으로 표시하는 것이지 먹을 수 없는 날짜가 아닌데 많은 사람들이 유통기한을 보고 버리게 되는 것에서 문제의식이 시작되었다.

여러 나라의 경우 식품 소비기한을 표시하여 먹을 수 있는 안전시간 최대치까지 표시를 하여 소비 과정을 확실하게 하는 것인데 비해 지난 38년간 우리 법령은 모호한 한계가 있어 이번에 올바른 방향으로 개정되는 것이다.

그래서 지금까지 38년 사용한 식품 표시 광고 법령이 개정되어 소비기한으로 표시된다.

또한 유통기한이라는 뜻의 모호한 것에서 새로운 개정이 출발된 것으로 본다. 

우리나라 국민들의 경우 유통기한이 다 되면 못 먹거나 소비하면 안 되는 것으로 오인하고 있어 확실한 정보를 전하고 그 의미를 정확히 인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제는 안심하고 소비기한을 표시함으로써 음식과 재료 낭비를 없애고 환경을 보호하고 나아가 지구 온난화 방지에도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최대 80% 늘어나는 제품도 있다

식약처는 우선 80개품목을 참고 값으로 선정하고 표시 기한을 공개했다.

대표적인 공개 아이템은 다음과 같다.

우유 기존 16일 소비기한 24일
두부 기존 17일 소비기한 23일
햄 류 기존 38일 소비기한 57일
발효유 기존 18일 소비기한 32일
이유식 기존 30일 소비기한 40일

 

소비기한은 어떻게 산출되는가?

실험을 통해 안전하게 섭취해도 되는 기한을 설정하는데 품질 안전 한계치에 안전계수 곱해서 과학적으로 실질적으로 산출되어 표시하게  되어 있다.

식품 영업자는 직접 안전계수를 산출할수 있다.

이때 식약처의기준을 명확히 충족하거나 식약처에서 정한 기한보다 많아서는 안된다는 게 기본적인 내용이다.

안전 지수는 제품의 냄새나 외관 세균수 산성도 등의 모든 것을 전문적인 검사을 통하여 발취되며 기본적인 소비기한을 정하는 데 사용된다.

 

영세 사업장 표시 방법

만약 본인의 사업장이 영세하여 실험을 할 수 없는 경우는 포장재질 과 유통 환경 기준을 근거로 식약처에서 정한 동일 제품의 소비기한보다 짧게 정하는 게 기본이라고 설명한다.

즉, 동일제품을 식약처에서 50일 이라고 권고하고 법령화 하였다면 본인의 사업장에서는 48일처럼 식약처 보다 적은 날짜를 사용하라는 뜻이다.

중요한 것은 정확한 기준을 명확히 식약청 문의하고 답변을 받은 다음 정부의 지침대로 표시하면 되는 것이다. 

현재 430 품목이 공개되었으며 향후 2025년 까지 2,000개 품목이 추가로 고시되어 사용기한 표시가 마무리될 예정이다.

 

 

'비즈니스와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장품 병행 수입 절차와 조건  (0) 2022.12.14
IRA 인플레이션 감축법  (0) 2022.12.05
유튜브 수익 인증  (5) 2022.11.29
B 2 B 제품소싱  (0) 2022.11.28
화물 안전 운임제란  (0) 2022.11.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