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버 치고 난 다음 페어웨이에 공이 들어가면 그 벙커샷을 잘하느냐 못하느냐에 따라 그 홀의 스코어가 분명한 차이가 나게 된다. 페어웨이 벙커샷을 잘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토핑을 친다는 생각으로 볼을 쳐야한다.
페어웨이 벙커샷은 볼의 옆 부분이 아니라 윗부분을 가격한다고 생각하여야 쉽다. 그래야만 제대로 된 히트가 나오고 볼이 잔디에서의 수준에 가깝게 거리를 보낼 수 있다.
실제로 토핑을 친다고 하더라도 볼을 칠 때는 골퍼의 힘에 의해서나 헤드의 무게 등으로 하향 타격이 되어 정상적인 샷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핸드 퍼스트의 원리를 이해하여한다.
볼을 칠 때 손과 헤드가 거의 볼 앞에서는 일직선이 되어야 공만 확실하게 걷어낼 수 있다. 이는 볼을 치면서 띄우려는 생각의 반대의 개념으로 보면 이해가 빠르다.
일단 볼을 띄우려고 하면 헤드의 궤적 원호가 볼에 미치치 못하여 구성되므로 모래를 치거나 공의 윗부분을 치게 된다. (아레 그림 참조)
이를 방지하게 위한 방법으로 원호 자체를 앞으로(타겟 방향) 끌고 와야 하는데 벙커에서 체중 이동이 쉽지 않기 때문에 그에 상응하는 핸드 퍼스트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볼에 접근하는 헤드가 충분히 땅에 닿지 않고 손의 리드에 의해 볼을 치게 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수저를 이용하여 모래 위에 있는 볼을 긁어 온다는 느낌으로 이해하면 좋다. 뒤에서 떠 올리는 것과 반대의 개념이다.
위 그림에서 보듯 A처럼 손이 우선으로 가면 볼을 치고 난 다음 미세하게 모래를 나중에 치게 되므로 거리 손실이 없고 정확한 터치가 가능하다.
반면 B처럼 체중 이동이나 핸드퍼스트가 되지 않은 상태로 헤드로 올려치면 모래를 치거나 토핑을 치는 수밖에 없는 궤도가 나오는 것이다.
그립이 약간 짧아야 한다
페어웨이 벙커샷의 기본은 그립을 내려 잡는 것이다. 발이 잔디와 다르게 빠지고 그만큼 공이 올라오게 되어 원래 타점보다 아래를 가격할 가능성이 다분하기 때문에 반드시 그립을 내려 잡아야 한다.
그립을 내려 잡은 만큼 볼을 히팅 하기 쉽다. 그만큼 볼과 가까이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변형한 유명한 프로의 진단이 있는데 석종* 프로의 레슨을 보면 "페어웨이 벙커샷의 경우 어깨를 이용하여 샷을 하라"라고 말하고 있다.
이 역시도 같은 원리이다. 어깨를 회전하여 손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면 핸드 퍼스트 혹은 그립과 헤드가 같은 지점에서 공을 마주하게 된다.
이는 뒤땅이나 토핑을 치지 않는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절대 헤드업 하지 않아야 한다는 기본을 잊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정리하면 벙커샷의 특성은 첫 번째가 자신감이다.
페어웨이 벙커샷 역시 자신감으로 과감히 스윙하여야 한다. 사전에 궤도 세팅은 불위에서 몸이 위치하여 올려치는 일이 없도록 어깨를 이용하여 과감한 스윙을 하면 결과는 좋게 따라온다.
'골프와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바른 체중이동 (0) | 2022.07.21 |
---|---|
골프 체중 이동을 하는 이유 (0) | 2022.07.21 |
로마로 아이언 (0) | 2022.07.18 |
골프웨어 (여름 기준) (0) | 2022.07.14 |
골프 선글라스 (0) | 2022.07.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