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일상

고가품 매트리스가 잘 팔린다.

by 투피플 2022. 5. 3.

고가품 매트리스가 잘 판매된다고 한다. 매트리스 하나에 몇 천만 원 하는 제품도 있다고 하는데 이러한 구매 현상은 어떤 것일까 궁금해진다. 

매트리스 고가품의 판매 급증 

한때 고가품 매트리스를 장착한 최고 가격 침대가 3800만원 정도였는데 현재는 6000만 원 하는 침대가 국내에 출시되었다고 한다. 이런 고가품 매트리스의 구매가 갈수록  높아진다. 이렇게 수천만 원하는 매트리스 제품이 올 들어 한 달에 200개씩 팔렸다고 하니 정말 다른 세계에 있는 듯하다.

분명한 것은 이러한 구매 현상은 충분히 금액을 지불할 수 있는 계층의 소비가 있을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잠이라도 편안하게 자야 한다는 의식에서 출발한 선택적 구매라고 보인다.

 

수면장애를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요즘은 수면 장에 겪는 사람들이 많다. 이러한 숙면에 관심을 갖게 된 후부터 고가품 매트리스의 판매도 급증하게 된 것이며 한창 일을 하고 편안한 휴식을 취해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그 무엇보다 잠을 잘 잔다는 게 보약 같은 일이라서 고가 매트리스의 판매를 충분히 대변해 주고 있다.

최근에는 수면장애 환자 수가 연평균 8% 센트 정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70만 명을 넘어섰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갈 수 록 그 숫자는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수면의 질을 결정하는 것 중 하나가 매트리스인데 한번 구입하면 오래도록 두고 사용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기도 하며 어떤 경우는 연봉 절반을 이 매트리스 사는 데 썼다는 사람이 나올 정도이다.

앞으로는 이런 매트리스뿐만 아니라 숙면을 돕는 기술과 제품인 슬립 테크 산업이 가파른 성장을 예고하고 있다. 산업계에서 이미 예의 주시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다. 

 

매트리스에 대한 생각

잠이라도 편하게 자야 한다는 현대인들이 살아가는 과정을 그대로 잘 표현하고 있는 것이며 힘들고 어려운 가운데 자신에게 쏟는 과도할 만큼의 자기애가 반영된 방식과 이 매트리스가 잘 맞아떨어졌다는 생각을 한다.

어느 광고는 침대는 과학이다. 어느 광고는 침대는 다 똑같다. 같은 공장에서 생산을 해 나가는데 가격만 다르다 등 여러 가지 설이 있고 의견이 분분하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체형과 수면 방식에 최적화된 매트리스가 좋은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글쓴이의 경우 서울이 아닌 지방이나 강원도 쪽을 자주 가는데 그쪽에 가서 잠을 청하면 한없이 편하고 깊은 잠을 잔다. 하루 이틀에 경험한 것이 아니고 늘 같은 느낌을 갖는다. 고가품은 아니지만 지금도 매트리스가 문제라고 생각하고 본인도 매트리스를 다시 찾아보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적인 요인이 많다는 것을 스스로 말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매트리스를 찾고 있는 것은 가격은 다르겠지만 이유는 같다고 본다.

온라인으로 저렴하면서 좋다는 것도 보고 백화점에 가서 수준에 맞는 매트리스를 보고 왔는데 가격을 생각하고 다시 서칭을 하고 있다.

환경 공해가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적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예전의 파란 하늘 색상을 언제 보았는지 까마득하다. 이런 시대에 우리가 살고 있으며 각자의 방식으로 그 파란 하늘을 잠을 청하면서라도 회복하고 싶은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나를 행복하게 하는 것

경제가 돌아가기 위해 어떤 형태이던지 소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누가 비싼 매트리스 산다고 전혀 문제 될 것이 없다. 그 사람 나름대로 어떤 생각이던지 충분한 값어치를 계산하여 과감한 지출을 결정하였을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해봐야 할 것이 쌓은 피로를 풀 수 있는 작은 행위들이 각자 자신들의 실정에 맞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운동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고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산을 좋아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오로지 평지를 걷는 사람도 있다.

내가 뭘 하면 가장 행복한가를 생각하여야 한다. 비슷하더라도 그것을 추구해야 한고 그 행복감이 조금 편하게 내 몸을 돌봐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건강한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리에 쥐가 났을때 대처방법  (0) 2022.05.12
위 건강에 좋은 음식  (0) 2022.05.03
간헐적 단식의 비밀  (0) 2022.04.08
한국의 삼겹살  (0) 2022.03.25
피지 사람들이 살이 찐 독특한 이유  (0) 2022.03.25

댓글